RAID(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)
*시스템 RAID 상태확인 : #cat /proc/mdstat
0 - 스트라이핑(Striping) : 2개의 하드에 데이터 분할저장, 속도업; 한쪽이 뻑나면 데이터 바이바이~
1 - 미러링(Mirroring) : 2개의 하드에 동시저장, 백업개념 포함; 용량낭비가 심함(½)
ex) 2개의 디스크(1GB x 2ea)를 RAID-0으로 /rdata0 구성
2개의 디스크(2GB x 2ea)를 RAID-1으로 /rdata1 구성
① 파티션 생성 - dev/hda(7,8,9,10)
#fdisk -l 확인 후에 #fdisk /dev/hda
n -> t -> 7(8) -> fd -> w
② 재부팅 or partprobe
#partprobe -> 확인 #cat /proc/partitions
③ RAID 장치 생성
#mdadm -C /dev/md0 -l 0 -n 2 /dev/hda7 /dev/hda8
(#mdadm -C /dev/md0 -l 1 -n 2 /dev/hda9 /dev/hda10)
④ 파일시스템 생성
#mkfs.ext3 /dev/md0(1) 또는 mke2fs -j /dev/md0(1)
⑤ 디렉토리 생성
#mkdir /rdata0(1)
⑥ 마운트
#mount -t ext3 /dev/md0 /rdata0
⑦ 확인
#mount ; df -h
⑧ /etc/fstab 등록
/dev/md0 /rdata0 ext3 defaults 0 0
(/dev/md1 /rdata1 ext3 defaults 0 0)
⑨ 확인
#umount /rdata0
#mount /rdata0
#df -h
1. 파티션 생성
#fdisk /dev/hda
ex) /dev/hda(11,12,13,14), /dev/hd5
2. 재부팅
#reboot or partprobe
3. RAID 장치 파일 생성
mdadm -C /dev/md2 -l 5 -n 4 /dev/hda1{1,2,3}
4. 파일시스템
#mke2fs -j /dev/md2
5. 디렉토리 생성
#mkdir /rdata5
6. 마운트
mount -t ext3 /dev/md2 /rdata5
7. 확인
$df -h
8. /dec/tstab 등록
#/dev/md2 /rdata5 ext3 ext3 default 0 0
9. 스페어장착
#mdadm /dev/md2 -a /dev/sda14
- 스페어디스크 추가로 장착가능
10. 에러발생
#mdadm /dev/md2 -f /dev/sda12
1) 파티션 생성
/dev/sda{5,6,7,8,9,10} → RAID 6
/dev/sda{11,12} → Spare
2) 장치파일 생성
#mdadm -C /dev/md0 -l 6 -n 6 /dev/sda{5,6,7,8,9,10}
- 기존 정보가 있기 때문에 질의 y(es) 엔터
3) 파일시스템 생성
#mkfs -t ext3 /dev/md0
4) 디렉토리 생성
#mkdir /rdata6
5) 마운트
#mount -t ext3 /dev/md0 /rdata6
6) 확인
#mount ; df -h
7) /etc/fstab 등록
8) spare 추가
#mdadm /dev/md0 -a /dev/sda{11,12}
9) RAID 장치확인
#mdadm -D /dev/md0
*시스템 RAID 상태확인 : #cat /proc/mdstat
0 - 스트라이핑(Striping) : 2개의 하드에 데이터 분할저장, 속도업; 한쪽이 뻑나면 데이터 바이바이~
1 - 미러링(Mirroring) : 2개의 하드에 동시저장, 백업개념 포함; 용량낭비가 심함(½)
ex) 2개의 디스크(1GB x 2ea)를 RAID-0으로 /rdata0 구성
2개의 디스크(2GB x 2ea)를 RAID-1으로 /rdata1 구성
① 파티션 생성 - dev/hda(7,8,9,10)
#fdisk -l 확인 후에 #fdisk /dev/hda
n -> t -> 7(8) -> fd -> w
② 재부팅 or partprobe
#partprobe -> 확인 #cat /proc/partitions
③ RAID 장치 생성
#mdadm -C /dev/md0 -l 0 -n 2 /dev/hda7 /dev/hda8
(#mdadm -C /dev/md0 -l 1 -n 2 /dev/hda9 /dev/hda10)
④ 파일시스템 생성
#mkfs.ext3 /dev/md0(1) 또는 mke2fs -j /dev/md0(1)
⑤ 디렉토리 생성
#mkdir /rdata0(1)
⑥ 마운트
#mount -t ext3 /dev/md0 /rdata0
⑦ 확인
#mount ; df -h
⑧ /etc/fstab 등록
/dev/md0 /rdata0 ext3 defaults 0 0
(/dev/md1 /rdata1 ext3 defaults 0 0)
⑨ 확인
#umount /rdata0
#mount /rdata0
#df -h
RAID-1 검증
1. 언마운트
#umount /rdata1
2. Raid 중지
#mdadm -S /dev/md1
3. 임의의 디렉토리 생성
#mkdir /test{1.2}
4. 2개의 파티션 마운트
#mount -t ext3 /dev/hda9 /test1
#mount -t ext3 /dev/hda10 /test2
1. 언마운트
#umount /rdata1
2. Raid 중지
#mdadm -S /dev/md1
3. 임의의 디렉토리 생성
#mkdir /test{1.2}
4. 2개의 파티션 마운트
#mount -t ext3 /dev/hda9 /test1
#mount -t ext3 /dev/hda10 /test2
RAID-5 : 디스크 최소 3개로 구성, 1개 Disk 오류 해결
ex) Disk 4개 각 2G, spare disk 1개
/rdata5 -> 6GB
ex) Disk 4개 각 2G, spare disk 1개
/rdata5 -> 6GB
1. 파티션 생성
#fdisk /dev/hda
ex) /dev/hda(11,12,13,14), /dev/hd5
2. 재부팅
#reboot or partprobe
3. RAID 장치 파일 생성
mdadm -C /dev/md2 -l 5 -n 4 /dev/hda1{1,2,3}
4. 파일시스템
#mke2fs -j /dev/md2
5. 디렉토리 생성
#mkdir /rdata5
6. 마운트
mount -t ext3 /dev/md2 /rdata5
7. 확인
$df -h
8. /dec/tstab 등록
#/dev/md2 /rdata5 ext3 ext3 default 0 0
9. 스페어장착
#mdadm /dev/md2 -a /dev/sda14
- 스페어디스크 추가로 장착가능
10. 에러발생
#mdadm /dev/md2 -f /dev/sda12
RAID-6 : 디스크 최소 4개로 구성, 2개 Disk error 허용
*선행작업 : #umount /dev/md0 → #mdadm -S /dev/md0 → vi + /etc/fstab 삭제1) 파티션 생성
/dev/sda{5,6,7,8,9,10} → RAID 6
/dev/sda{11,12} → Spare
2) 장치파일 생성
#mdadm -C /dev/md0 -l 6 -n 6 /dev/sda{5,6,7,8,9,10}
3) 파일시스템 생성
#mkfs -t ext3 /dev/md0
4) 디렉토리 생성
#mkdir /rdata6
5) 마운트
#mount -t ext3 /dev/md0 /rdata6
6) 확인
#mount ; df -h
7) /etc/fstab 등록
#vi + /etc/fstab
/dev/md0 /rdata6 ext3 defaults 0 0
/dev/md0 /rdata6 ext3 defaults 0 0
8) spare 추가
#mdadm /dev/md0 -a /dev/sda{11,12}
9) RAID 장치확인
#mdadm -D /dev/md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