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로그 저장소 :)/네트웍.Network

[CCNA] Router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# Router의 동작원리


-Router는 Lyaer 3계층을 대표하는 장비이다.

-Router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Layer 3의 IP Header의 목적지 IP주소를 근거로 

  Routig table을 참조하여 데이터를 Next-hop하는 장비이다.

-Protocol : IP

-주소 : IP address

-Router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Layer 3 Header의 목적지 주소를 근거로

  Routig table을 참조하여 데이터를 Forwarding하는 장비이다.


-Router는 데이터 입력되면 Routing table을 참조하여 Next-hop까지 전파

-Router는 목적지까지의 통신을 책임지지 않는다. (Next-hop까지만)

-Router는 Routing table에 없는 네트워크 정보는 Drop실시

-Router는 Local 정보는 가장 신뢰적이기때문에 Connected로 경로정보 학습 실시

-Router는 Local 네트워크가 아닌 정보는 Static , Dynamic Routing protocol을 사용하여

  경로정보 학습 실시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#R1 show ip route

C    192.168.1.0/24 is directly connected, FastEthernet0/0

C    192.168.12.0/24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1/0


#R2 show ip route

C    192.168.2.0/24 is directly connected, FastEthernet0/0

C    192.168.12.0/24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1/1

C    192.168.23.0/24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1/0


#R3 show ip route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# 경로정보 학습


-목적지 네트워크 정보를 학습하는 행위


-경로정보 학습을 실시하기위해서는 Routing protocol 안에 

  반드시 Next-hop이 보장되어야 한다.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# Router의 기본 Mode


                ## User Mode


-해당 Router에 접속은 Console , AUX , Telnet등을 사용할수있다.

-위의 방식으로 접속을 실시하게되면 기본적으로는 User mode로 접속이 실시된다.


Router>  <--- User mode


-User mode에서는 해당 장비의 기본적인 상태확인만 가능하다. 레벨 1로 설정





                ## Privilege Mode

-User mode에서 정보확인및 설정을 실시하기위해서는 상위 Mode로 전환을 실시해야한다.


Router> enable

!

Router#  <-- Privilege mode


-정보확인 : show , debug (정적인 정보확인)

-저장 : Copy (NVRAM <- RAM)

-삭제 : reload (RAM삭제)

          erase  (NVRAM삭제)

          delete (Flash삭제)

-Telnet접속 , ICMP등의 설정을 제외한 기능을 수행한다.





                ##  Global Mode

-Router는 RAM에 저장된 Command를 기반으로 동작을 실시하는 장비이며

  해당 Router에 설정을 실시하기한 Mode이다.


Router# configure terminal

!

Router(config)#   <-- Global Mode

!

Router(config)# exit : 이전 Mode로 전환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# RAM , NVRAM


-Router는 RAM에 기반하는 장비로써 설정한 모든 Command는 RAM에 저장이 실시되며

  해당 Router는 RAM에 설정되  Commnad에의해 동작을 실시한다.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RAM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NVRAM


-특징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휘발성 정보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비 휘발성 정보


-확인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how running-config                 show startup-config


-저장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실시간 저장              copy running-config startup-config  [축약 : wr]


-삭제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reload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erase startup-config


-Config-register

 .0x2102 : 장비 초기화후 NVRAM을 참조하여 RAM으로 Configuration을 Loding

 .0x2142 : 장비 초기화후 NVRAM을 참조하지 않고 새로운 RAM으로 구성


               [변경방법]

Router(config)# config-register 0x2102

Router(config)# config-register 0x2142




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 Twisted-Pair Cable


       # UTP Straight-Through Cable (Direct)

-이종간의 장비 연결시 사용되는 Cable

 .EX) Switch -- Router , Switch -- PC


           Switch-----------Router

백주 백주

  주     주

백초 백초

  파     파

백파 백파

  초     초

백빨 백빨

  빨     빨




       # UTP Crossover Cable

-동일 장비 연결시 사용되는 Cable

 .EX) Switch -- Switch , Hub -- Hub , Router -- Router


           Switch-----------Switch

백주 백초

  주     초

백초 백주

  파     파

백파 백파

  초     주

백빨 백빨

  빨     빨




       # UTP Roll-over Cable  (Console Cable)

-Router , Switch의 Console Port로 접속시 사용되는 Cable


              PC-------------Switch

백주   빨

  주   백빨

백초   초

  파   백파

백파   파

  초   백초

백빨   주

  빨   백주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# Router Interface


-Router의 Interface는 크게 LAN 구간을 연결하는 Ethernet Interface와

  WAN구간을 연결하는 Serial Interface , 가상의 Interface인 Loopback interface로 구성이 가능하다.


-Ethernet Interface , Serial Interface는 물리적 Interface이며 loopback interface는 가상의 Interface이다.


-Cisco Router에서 물리적 interface는 [Eternet , Serial]기본적으로

  비 활성화 상태(Shutdown)이기 때문에 수동으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해야 한다.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 Ethernet Interface


-LAN구간을 연결하는 Interface이며 IEEE에서 지정한 표준 Protocol이기때문에

  통신방법 , 전송속도 , 대역폭등이 표준으로 규정되어져 있기때문에

  연결을 실시하게되면 Layer 2까지는 기본적으로 통신이 실시되어진다.



Router# conf t

!

Router(config)# hostname R1

!

R1(config)# interface fastethernet 0/0

R1(config-if)# no shutdown   <--- Layer 1 활성화

R1(config-if)# ip address 192.168.1.254 255.255.255.0  <--- Layer 3주소 할당


              정보확인


R1# show ip route   : Routing table 확인

R1# show arp   : ARP Table 확인

R1# show interface fastethernet 0/0   : 해당 Interface의 정보 확인

R1# show running-config   : RAM 확인

R1# ping 192.168.1.1  : PC1통신

R1# ping 192.168.1.2  : PC2통신




Router# conf t

!

Router(config)# hostname R2

!

R2(config)# interface fastethernet 0/0

R2(config-if)# no shutdown 

R2(config-if)# ip address 192.168.2.254 255.255.255.0


              정보확인


R2# show ip route

R2# show arp

R2# show interface fastethernet 0/0

R2# show running-config

R2# ping 192.168.2.1  : PC3통신

R2# ping 192.168.2.2  : PC4통신

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 Serial Interface


-WAN구간을 연결시 사용되는 Interface이며

  Ethernet과는 달리 Layer 2 Protocol 및 전송속도 , 대역폭을 지정해주어야한다.

  [근거리에서는 Back-to-back Cable을 사용하며 원거리 연결시 CSU/DSU를 사용하여 연결실시]



   # R1    [DCE]

R1(config)# interface serial 1/0

R1(config-if)# no shutdown

R1(config-if)# encapsulation hdlc   : Cisco Router의 Serial은 기본적으로 HDLC로 동작을 실시

R1(config-if)# bandwidth 64          : 대역폭 설정 [Kilobits]

R1(config-if)# clock rate 64000      : 전송 속도 지정 [bits per second]

R1(config-if)# ip address 192.168.12.1 255.255.255.0  :  Layer 3주소 할당



   # R2    [DTE]

R2(config)# interface serial 1/1

R2(config-if)# no shutdown

R2(config-if)# encapsulation hdlc

R2(config-if)# bandwidth 64

R2(config-if)# ip address 192.168.12.2 255.255.255.0


              정보확인


R1# show ip route

R1# show interface serial 1/0   : Serial interface의 기본 정보 확인

R1# show controller serial 1/0  : Serial interface이 DCE , DTE , Clock rate값 확인

R1# show ip interface brief      : Interface의 상태정보 확인

R1# ping 192.168.12.2   : R2의 Serial interface [Next-hop]


R2# show ip route

R2# show interface serial 1/1

R2# show controller serial 1/1

R2# show ip interface brief

R2# ping 192.168.12.1   : R1의 Serial interface [Next-hop]








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 Loopback interface


-Loopback interface는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Port가 존재하지 않는 논리적인 Port이다.

-Test등을 목적으로 네트워크를 추가시 사용할수 있는 Interface이다.

-Loopback interface는 가상의 Interface이기때문에 Layer 1 , Layer2이 활성화 상태이므로

 IP주소만 설정을 실시하게되면 통신이 가능하다.

 [단 'Shutdown' command를 사용하여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은 가능하다.]



Router(config)# interface loopback <0-2147483647>

Router(config-if)# ip address [A.B.C.D] [Subnetmask]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## Show ip interface brief



R1# show ip interface brief

Interface              IP-Address      OK? Method  Status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Protocol


Serial1/0              unassigned      YES unset    administratively down  down : 해당 장비가 Shutdown상태

 

Serial1/1              unassigned      YES unset    down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down : 연결된 장비의 Interface상태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hutdown인 경우

Serial1/2              unassigned      YES unset    up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down  : Encapsulation type , Clock값

 

Serial1/3              unassigned      YES unset    up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up      : Layer1 , Layer2활성화 상태
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CDP (Cisco Discovery Protocol)


-자신에게 직접 연결된 장비의 기본적인 사항을 확인할수 있다.


-CDP를 사용하기위한 조건

 .Cisco장비간 연결시에만 사용할수있다.

 .Layer 2가 활성화 상태일경우 확인이 가능하다.

 .직접 연결된 장비의 정보만 확인이 가능하다.



-확인 가능한 정보

 .CDP Message는 60초 단위로 전파하며 180초간 유지된다.  [show cdp]

 .Version : IOS Version

 .Divice ID : 연결된 장비의 Hostname

 .Local Interface : 자신의 Interface

 .Port ID : 연결된 장비의 Interface

 .Platform : 연결된장비의 Platform

 .Capability : Router/Switch

 .Next-hop IP : 연결된 Interface의 IP


RTX# show cdp

RTX# show cdp neighbor  [장비간 연결된 Interface를 확인]

RTX# show cdp neighbor detail


RTX(config)# no cdp run  [CDP기능 해제]


RTX(config)# cdp timer  [CDP Message 교환 주기 변경]


RTX(config)# cdp holdtime  [holdtime 변경]




'로그 저장소 :) > 네트웍.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CNA] 라우팅 프로토콜 2  (0) 2012.10.28
[CCNA] Password  (0) 2012.10.28
[CCNA] Introduce  (0) 2012.10.28
[CCNA] Network  (0) 2012.10.28
[CCNA] EIGRP  (0) 2012.10.28